본문 바로가기
투자

퀀트킹 백테스터04 피터린치 전략

by Miracle_Morning 2022. 2. 26.

 

어느덧 강환국 패밀리 스터디의 끝이 다가온다. 여러 사정상 2월까지 스터디를 신청했는데 정말 아쉽다. 이게 스터디중의 의 마지막 전략이 될 것 같다... 하지만 어떤 식으로 책을 읽고 퀀트 킹으로 백테스팅을 하는지는 감을 잡은 상황이라 앞으로도 전략에 관한 포스팅은 계속할 예정이다. 이번 전략은 피터 린치의 이익성장률 전략이다. 전설로 떠나는 월가의 영웅에는 다음과 같이 구체적으로 이익성장률과 PER을 이용한 전략을 알려준다.

 

 이익성장률 % > PER 인 회사에 투자하라

친숙한 Factor 로 표현하면 "PEG: PER / EPS 성장률" 이 가능하다. 하지만 실제로 PEG 하나만 가지고 백테스팅을 해보면 그렇게 좋은 결과를 얻지는 못한다. 따라서, 저렴하면서 성장성이 좋은 회사를 산다는 아이디어를 가지고 다음과 같은 전략을 만들어 보았다.

 

 

순이익을 사용하지 않고, 매출액 지표를 사용해보았다. 그중에서 한국에서 굉장히 잘 먹히는 GP/A (자산 대비 매출액) % 을 최소 20 컷을 주었다. 스터디원 중에 GP/A를 ranking으로 매기는 방법보다 이런 식으로 최솟값을 주는 전략으로 엄청난 퍼포먼스를 보여주신 분이 있어서 한번 벤치 마크해보았다. 순이익을 쓰지 않았기 때문에, 매출액의 질적인 부분을 추가 고려하기 위해서 FCFF (영업활동 현금흐름 - 설비투자)를 사용하였다. FCFF에는 ranking을 매겼다. 저렴한 회사를 찾는 팩터에는 분기 PFCR ( 시총 / FCFF )과 분기 PSR ( 시가총액 / 매출액 )에 동일한 비율로 ranking을 매겼다. 회사의 안정 정성을 고려하여 risk를 줄이기 위해서 당좌비율의 최솟값도 100을 주었다. 그 외, 소형주 효과를 고려하여 시총 상한을 주었고, 시즈널 효과를 고려하여 10월 말 매수 4월 말 매도를 하였다.

 

 

CAGR 32.7% MDD 13.2%!! 매우 만족스러운 결과가 나왔다. 연 수익률은 14년 동안 15퍼센트 미만으로 떨어진 적이 없었다. 이대로 사용해도 될만한 전략인 것 같다.

 

아래와 같이 원화베이스의 자산을 두개로 분산시켜 2년간 투자해보고 누가 이기는지 비교해보면 재밌을것같다.

  • 청년 희망적금 ( 2년간 세금없이 확정 CAGR 5-6% )
  • JW capital의 피터린치 전략 ( 14년간 CAGR: 32.7 % )

지금 매수를 할경우 4월말까지 얼마 남지 않았기 때문에 1년정도 청년희망적금이 유리하다. 이 부분을 어떻게 고려할지 생각해보고, 실제로 펀드식으로 운영해보고 후기를 올리는 콘텐츠를 만들어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