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근황, 산업스터디 (Feat 비상금의 중요성)

by Miracle_Morning 2022. 4. 26.

 

최근에는 SK바이오 투자 센터장이신 이동훈 부사장님이 진행하시는 클하대학교의 산업 스터디에 참여하고 있다. 이전까지는 숫자와 기업에 관심을 가지며 투자 공부를 했으나, 산업의 중요성을 알게 되는 기회가 되었다. 기업은 제품이나 서비를 제공할 때 R&D->원재료 조달-> 완제품 생산-> 마케팅 및 판매-> 고객관리와 같이 부가가치에 따라 선형적인 프로세스를 밟는다. 또한 우리가 투자하는 기업은 이 글로벌 세계에서 혼자서 일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가죽지갑을 만든다 할 때, 디자인은 이탈리아에서 하고 원자재는 인도에서 공급, 완제품은 한국에서 팔 수 있다. 이렇게 부가가치가 마치 사슬처럼 얽혀 있기 때문에 이를 글로벌 가치 사슬 (Global value chain)이라고 부른다. 따라서 투자를 결정하는데 산업을 이해하는 것이 다음과 같이 선행되어야 한다.

 

  • 산업 전반을 이해하고 향후 5년 혹은 10년 이내에 산업이 어떻게 바뀌어져 있을까? 가치사슬의 구조에서 누가 이득을 볼까?
  • 기업은 이 흐름에 발 빠르게 적응할 수 있을까? 
  • 기업의 가치는 얼마인가? -> 투자 결정

 

나의 근황중 긍정적인 뉴스는 주말에 산업 스터디를 통해 실제로 기업 하나를 정해서 위와 같은 프로세스에 따라서 정말 좋은 조원분들과 함께 분석을 해보는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있다. 물론 틈틈이 퀀트와 관련된 서적도 읽으며 커리어 전환 준비도 할 것이다 (할게 많다..).

 

부정적인 뉴스는 인건비가 밀리고 있다.. 종종 학기가 바뀔 때 1-2주 밀리는 것은 경험을 통해 준비를 해놓는데 이번엔 거의 2달 가까이 인건비가 밀려서 경제적으로 생활이 힘들다. 이런 것을 볼 땐 정말 시스템이란 게 중요한 것 같다. 인건비 지급 시스템도 경험을 통해 배우고 미리 준비하는 형태로 발전하면 좋겠지만 내가 손댈 수 있는 부분이 아니니 스트레스받아봤자 나만 손해이다. 이 문제를 건설적으로 풀어보려면 내가 손댈 수 있는 부분이 뭘까 생각해봐야 한다. 결론은 혹시 모를 일을 대비한 보수적 유동성 확보이다. 보통 비상금을 1달치 생활할 것을 모아두긴 하는데, 이번에 이것저것 돈이 나갈 갑작스러운 일들이 발생하고 2달치를 못 받다 보니 생활비를 위해 부채를 끌어다 쓰는 절대로 하면 안 될 일도 저질렀다. 비상금은 좀 더 보수적으로 생각해서, 럭셔리하게 생활 가능한 2달치 생활비를 모으는 것으로 해야겠다. 빨리 졸업하고싶다.. 힘내자!

 

 

책 두권을 언급하며 마치겠다.

산업스터디를 하면서 읽은책 : 이동훈 부사장님의 "어떻게 경제적 자유를 이룰것인가"

http://www.kyobobook.co.kr/product/detailViewKor.laf?mallGb=KOR&ejkGb=KOR&barcode=9791167140210 

 

어떻게 경제적 자유를 얻을 것인가 - 교보문고

SK바이오투자센터장 이동훈의 투자 수업 | 경제적 자유는 장기 레이스이다 경제적 자유는 하루아침에 이루어지지 않고, 장기간 단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학습과 연습을 통해 투

www.kyobobook.co.kr

 

산업과 스토리텔링의 중요성을 자각하며 앞으로 읽어볼 책 : 다모다란 교수님의 ""Narrative & Numbers 

http://www.yes24.com/Product/Goods/90196748

 

내러티브 앤 넘버스 - YES24

트위터와 페이스북은 어떻게 수십억 달러의 평가를 받았을까?이익이 전혀 나지 않는 기업에 수십억 달러의 가치가 매겨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어떤 스타트업은 대규모 투자를 유치하는데 어떤

www.yes24.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