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트레이딩1. 델타헤징 수익 원리 : 하락장에서도 돈 버는 법

by Miracle_Morning 2024. 11. 10.

주식 투자의 가장 어려운 점이 뭘까요? 바로 '방향 맞추기'입니다. 오늘은 주가가 오르든 내리든 돈을 벌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 콜옵션 기초

콜옵션은 '살 수 있는 권리'입니다

예시로 이해해봅시다:
- 삼성전자 현재가: 7만원
- 8만원에 살 수 있는 권리를 2천원에 삼
- 9만원되면? 1만원 벌 수 있음
- 7만원이면? 2천원 손해

2. 옵션과 주식의 결정적 차이

델타헤징으로 돈을 벌 수 있는 핵심 원리는 아래와 같습니다.

주식: 직선처럼 움직입니다
- 10% 오르면 → 무조건 10% 수익
- 10% 내리면 → 무조건 10% 손실
- 움직임이 일정하고 예측 가능

옵션: 휘어져서 움직입니다
- 구간마다 반응이 다름
- 어떤 구간에서는 크게 반응
- 어떤 구간에서는 작게 반응

이 '휘어짐'과 '직선'의 차이가
바로 우리가 돈을 벌 수 있는 이유입니다!

3. 델타란?

델타는 주가가 1원 변화할 때 옵션가격이 얼마나 변하는지를 나타냅니다.

 

예: 델타가 0.5라면
- 주가 1000원 상승 → 옵션 500원 상승
- 주가 1000원 하락 → 옵션 500원 하락

위 그래프에서 보듯이 주가에 따라 델타가 달라집니다!

4. 실제 수익은 어떻게?

자금 1000만원으로 시작한다고 가정해봅시다.

[상승장에서]
시작할 때:
- 콜옵션 매수 (델타 0.5) → 1000만원어치
- 주식 매도 → 500만원어치

주가 10% 상승하면:
- 콜옵션: 델타 0.7로 변해서 +70만원
- 주식: 직선으로 -50만원
- 순수익: +20만원

[하락장에서]
같은 포지션에서
주가 10% 하락하면:
- 콜옵션: 델타 0.3으로 변해서 -30만원
- 주식: 직선으로 +50만원
- 순수익: +20만원

자주 묻는 질문

Q1: 옵션과 주식 비율은 어떻게 맞추나요?

A: 옵션의 델타값 만큼 반대로 주식을 잡습니다. 예를 들어 델타가 0.6이면 주식은 60% 만큼 반대로 포지션을 잡습니다.

Q2: 리밸런싱은 얼마나 자주 해야 하나요?

A: 보통 1% 정도 차이가 날 때 리밸런싱합니다. 너무 자주하면 수수료가 많이 들고, 너무 늦으면 리스크가 커집니다.

Q3: 가장 큰 리스크는 뭔가요?

A: 급격한 주가 변동과 시간가치 감소입니다. 이는 적절한 포지션 사이징과 만기 관리로 대응할 수 있습니다.

리스크 관리 핵심

1. 포지션 사이징
   - 총 자금의 30% 이내로 제한
   - 레버리지 3배 이내로 유지
   - 비상금 충분히 확보

2. 만기 관리
   - 남은 만기 30일 이상 유지
   - 시간가치 감소 고려
   - 정기적인 롤오버

3. 변동성 관리
   - 급격한 변동성 증가시 포지션 축소
   - 변동성 지수 모니터링
   - 이벤트 기간 주의

마무리

델타헤징의 핵심:
1. 옵션은 휘어져 있고, 주식은 직선이다
2. 이 차이에서 수익이 발생한다
3. 철저한 리스크 관리가 필수다